재를 사용하여 성당이 건축되었다. 190) 천주교 신자들이 전주성을 헐어낸 자리에서 흙을 운반하고, 성돌을 사다가 다듬어서 전동 성당을 신축하였다. 이후 전주천 제방의 수축과 가옥 건축 등에도 이용되었다. 그 외에 전주읍성 안에 저지대였던 동북쪽과그 곳에 있던 연못도 매립되었다. 191) 아래 [그림 8]에서 전주 성벽을 훼철한 후 나온 석재를 사용한 곳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전주읍성 훼철 후 나온 석재 사용 위치 출처 : 전주시가도 (전라북도조사자료, 1910년 참조 작성).
비고 : 실선은 신설된 십자로, 점선은 읍성 훼철 후에 나온 석재를 사용한 지역, 파선은 훼철된 성벽 자리.
서울의 경우 1908년도에 신축, 증축하는 각부 부원청에 석재를 사용할 계획이었
190) 敎堂所用의 許可 ,皇城新聞, 1909년 7월 3일.
191) 장명수, 앞의 책, 230쪽.
- 43 - 러일전쟁 이후(1905∼1910) 도성·읍성 성벽의 훼철 / 김혜미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한양대학교 대학원,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석사)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ngbyeok Churry Wywonhoe(城壁處理委員會, The Committee for City (0) | 2017.02.08 |
---|---|
혼잡을 해결하고 근대적인 도로를 개설하는 동시에 성곽 파괴를 통해 왕성의 (0) | 2017.02.06 |
1908년 7월 5일 개최된 제1회 성벽처리위원회에서도 동대문 곡벽과 오간수문을 훼철하고 그 석재를 이용하는 안건 등에 대해 의결하였다. 이후 제2회 (0) | 2017.02.03 |
남문광장, 북문광장, 동문광장, 광장서문)와 경무부, 재판소, 도청 등 지방의 행정기관 앞 (0) | 2017.02.02 |
5]의 실선으로 표시된 4성로와 십자대로가 개설되어 대구 시내를 잇는 간선 도로망이 (0) | 2017.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