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딜라이브 1644-7564 가입 조현정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케이블 방송은 언제나 알차게~!!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018. 7. 5. 08:41 독서
절히 활용할 수 있는 학습내용 및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위의 연구들을 볼 때 수업지도안에 관한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의 중요성과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맥락 아래 포괄적으로 수업 지도방안이 제시되었으며, 통합 수업과 학습자 중심 체험 활동 수업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국악수업 적용 및 실행과 관련된 것으로 연구물에서 제안한 수업지도안을 실제로 학교수업에 적용하거나 이론적 지식을 국악수업에 실행한 연구가 해당된다.
수업 적용 및 실행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연구 1편, 양적 연구 2편, 질적 연구 1편 으로 총 4편이 있었다. 황부남과 이현주(2011)는 중학생 음악 교과서를 선정하여 교사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매우 중요시한 비계설정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민요 가창 활동 방안과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개발하여 더욱 효율적인 민요 가창지도 방법을 국악수업에 실제로 적용하였다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8. 7. 2. 23:22 독서
직도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 실행에 대해서는 인식과 실행에서 미흡함을 알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적으로 국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음악과 교육과 정의 국악교육 계획 자체에만 관심이 있었지, 정작 그것이 국악수업 현장에서 어떻게 실행되었는지에 대한 관심을 두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악교육 실행에 관한 연구가 전혀 없는 상태이다. 이처럼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 연구에서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수업에 대한 연구는 매우 빈약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기존에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에서도 국악 교수 방법 차이에 의한 학습효과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거나 국악수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교실 수업의 진정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기술적 연구 또는 해석적 연구는 몇몇 연구(김명희, 1986; 이용숙, 1990)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어려웠다(김영천,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8. 6. 26. 08:29 독서

2011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항목은 평가 방향과 평가 방법으로 이루어지
며, 평가 방법에는 내용 영역별 평가 방법이 포함된다.
평가 방향에서 평가는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에 근거하여 시행하도록 하며, 그범위와 수준은 단위별로 학생과 학교의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평가 계획은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학생에게 예고하여야 하며, 실제로 수업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평가하고, 평가의 내용, 과제, 매체는 다양하게 제시, 가능한 학생에게 선택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평가 방법으로는 학업 성취도를 중심으로 평가하되, 학습과정을 중시하여 행동이나, 태도의 변화 등을 반영 할 것을 강조하며, 교사 평가뿐만 아니라 상호평가, 자기평가, 학생의 평가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다양한 유형의 평가 방법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 다. 내용영역별 평가 방법에서 표현활동은 기초 기능, 표현, 태도 등을 골고루 반영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8. 6. 13. 11:08 독서

로 축소되어 우리나라 궁중 음악은 위축되기 시작하였다.
개화기와 갑오경장, 일본의 한국 강점 등 근대 시기는 정치와 사회, 문화 등 모
든 면에서 혼돈의 시기로, 음악에 있어서도 종류와 형태, 내용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예컨대 일반 대중의 문화의식이 높아지는 한편 풍류음악이 더욱 융성
하였고, 판소리가 창극으로 번안되기도 하는 등 발전적인 측면도 있었으나 서양 문물의 유입과 일본 침략으로 서양음악과 일본음악이 국내에 유입되면서 전통음악은 혼란기를 겪게 된다. 서양식 군대가 창설되어 일반인들에게 서양 악곡들이 소개되 었고, 학교에서는 찬송가와 서양 음악이 교육되었으며 궁중 제례가 폐지되면서 아
3)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궁중음악을 담당하던 관청(官廳)이다.
4) 조선왕조의 국시는 예악으로 집약되며 예악에서 ‘예’는 말 그대로 예의범절을 ‘악’은 음악을 의미한다. 예와 악에는 인간의 가치를 최고로 하는 귀중한 형이상의 상징성과 의미의 세계가 담겨있으며 이 상징성과 의미는 예악정신의 요체가 된다.
5) 국권피탈 후 전통음악의 보존을 위해 설치한 기구로 일제 감점기에 전통음악의 연주·보존에 관한 일을 맡았던 음악기관이다.
6) 한말 지방에서 활동한 직업적인 민간 예능인의 연예활동을 행정적으로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8. 6. 9. 18:05 독서

다. 제7차 교육과정(1997∼2007)은 전통문화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도록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였고 2007(2007∼2010)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는, 국악을 생활화 하도록 하는 교육 활동 강화(권혜근, 2010) 차원에서 국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08)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어 교육의 양과 질에서 빠른 향상을 보인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음악교육 목표를 설정하면서 학생의 창의성 및 음악적 정서와 표현력을 계발하고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인식하여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음악을 통하여 우리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으로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 인간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음악의 다양한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하고 즐기는 태도를 가지게 하는 것(교육과학기 술부, 2012)을 명시하였다.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하고 있는 2011 개정 교육과정 또한, 우리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와 계승·발전을 강조하고 있다. 시행을 앞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음악교육 목표 속에 국악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있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8. 6. 7. 11:20 독서

, 매니지먼트, 작업의 진행, 작업의 증거, 작업 자체라는 활용 맥락을 반영한다.
외부적인 맥락에서 존재하는 기록들은 미술작가의 ‘창작’이나 ‘전시’ 및 ‘매니지먼 트’ 활동 등에서 미술계의 다양한 주체들과 협력과 사회적인 소통을 통해 생산및 활용되며 복합적인 맥락 구조를 만든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미술작가의 기록 문화를 탐색하면서 미술작가의 기록 문화 역시 디지털 기록 문화로 변모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미술작가의 기록은 PC를 통해 디지 털의 형태로 생산되는 동시에 하드디스크나 웹 클라우드 등의 다양한 저장매체를 통해 관리되고 있었다. 또한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미술작가는 SNS나 개인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8. 1. 10. 13:35 독서
차용미술가는 위와 같은 문구를 전시장, 카탈로그, 인터넷 등에서 작품 제목과 함께 표기함으로써 표절의 의혹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5.3 저작권 교육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2015년 시각예술분야 차세대예술인력 육성사업 (아르코 영 아트 프론티어-ARKO Young Art Frontier, AYAF)을 진행하 였다. 만 35세 이하 작가와 기획자들의 창작과 발표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한정우는 이 사업에 선정되어 인사미술공간에서 2015년 9월 11월부터 개인전 《누워있는 세계 / Somewhere lied down》을 진행하였
394) 저작권법 제37조(출처의 명시)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 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7. 12. 27. 16:45 독서
성립한 것이다. 여기서 ‘업무’라 함은 직업 또는 사회생활상의 지위에 기하여 계속적으로 종사하는 사무나 사업 일체를 말하고, 그 업무가 주된 것이든 부수적인 것이든 가리지 않으며 비록 일회적 사무라 하더라도 그자체로서 어느 정도 계속적인 것이거나 그것이 직업상 또는 사회생활에서 계속적으로 하여 온 본래의 업무와 밀접․불가분한 관계에 있으면 이에 해당한다. 303) ‘위계’는 행위자의 행위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대방에게
301) 대법원 1999.2.9. 선고 98다31356판결; 대법원 2008.1.24. 선고 2005다58823 판결.
302) 대법원 2008.1.24. 선고 2005다58823 판결.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7. 12. 27. 16:45 독서
2004년 전후로 정혜진 작가를 표절하여 논란이 있었고, 습관적으로 의도 적으로 표절하는 사람이라고 표현한 것은 사실의 적시에 해당하고, 위의 내용을 검토한 후 허위라고 판단하면서 사회적 평가를 저해하는 내용에 해당하므로 명예훼손이 성립한다고 인정하였다. 그러나 황인기가 표절을 제기한 것은 미술계에서 표절과 모방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근절하고자 하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을 받아들여 위법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다음은 신한갤러리 큐레이터에게 두 차례의 메일을 보낸 것에 대한 업무방해 성립 여부에 관한 사항이다. 법원은 이를 판단하기 위해 ‘업무’, ‘위계’, ‘위력’, ‘방해한다’라는 개념에 대해 정리하였다. 형법 제314조 제1
항의 업무방해죄는 위계 또는 위력으로서 사람의 업무를 방해한 경우에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7. 12. 20. 11:30 독서
사진과 미술 전시 전문 문화공간임을 표방하고 있다. 263) 2009년부터 일우 사진상을 개최하여 사진 작가들이 폭넓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등 사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지할 사항은 2010년 8월경 케나 에게 사진전을 개최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협상이 결렬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 무렵 대항한공 여행사진공모전에서 케나의 사진과 비슷한 사진이 출품되었고, 대상이 아닌 입선작임에도 불구하고 광고에 전면으로 등장시키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도 60). 264) 따라서 위의 사항을 고려
259) 최은희, 「사진저작물의 창작성 판단기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집(2015), p.
103.
260) 대한항공은 김성필의 사진을 이용하면서 입선작에 대한 상품인 국내 왕복 항공권 2매를 지급 하였다.
261) 공근혜갤러리 블로그, 마이클 케나가 2014년 1월 15일 보내온 편지. “Some people are saying that I do not want anybody else to photograph the Pine Trees on Sol Island.
This is absolute nonsense and completely incorrect. … The amateur photographer's image Korean Air used in their tv advertisement is really quite beautiful and I congratulate him. My disagreement is not with this photographer or any photographer, it is with Koran Air alone. … There was no licensing fees of financial compensation paid either to the amateur photographer to me. …I believe I have a moral duty to stand up and set an example so that other professional photographers are not taken advantage of in the same manner.”; 출처 http://blog.naver.com/gallerykong/130184313850 (2016년 10 월 19일 검색).
262) 강지남, 「“흔해빠진 풍경? 지금도 ‘나만의 소나무’ 몰입”」, 『신동아』, 2015년 3월 25일.
263) 일우스페이스 소개글; 출처 http://www.ilwoo.org/ilwo_about02/about01.php (2016년 10월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