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1. 12. 02:00
독서
로, 내각은 행정권의 행사에 관련하여 의회와 연대 책임을 지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동시에 의회도 그 권력을 참의원과 중의원으로 분점되도록 하였던 것이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공화국에서의 양원제와 의원내각제는 결과적으론 실패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정치적인 실험이 실패했던 것은 제도 자체부터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의원내각제에 대한 열망은 강했으나, 정작 그제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아직 서구의 민주주의 및 헌법이 우리나라에 완전히 자리를 잡은 것이 아니었기에, 당시 국회의원들도 의회의 정부불신임과 내각의 국회해산 권한 외에는 의원내각제에 대해 아는 것은 거의 없었던 것이다. 단순히 대통령제를 나쁜 제도로만 각인시킬 뿐, 의원내각제의 자세한 장단점에 대해선 제대로 알지도 못했던 것이다. 제도는 도입하였으나, 막상 활용하는 방법을 모른 탓에 실패를 했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2) 의원내각제로의 개헌 문제
양원제 개헌에 필요성에 관한 연구/이경준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정시켜서, 대통령의 권한이 비대해지는 것을 사전에 막아야 하는 것이다. (0) | 2017.01.14 |
---|---|
의회의 대정부불신임동의권과 정부의 의회해산권의 균형을 유지하는 (0) | 2017.01.13 |
소위 ‘대통령중심제’, ‘한국식 민주주의’라는 이름 아래에서 권위주의적인 모델로서의 (0) | 2017.01.11 |
대한민국 국회의 양원제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균형형 양원제로 가도록 유도 (0) | 2017.01.10 |
앞에서 언급된 권한 중 상원에게 주어지는 권한은 다음과 같다. 법률안과 예산안의 (0) |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