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딜라이브 1644-7564 가입 조현정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케이블 방송은 언제나 알차게~!!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016. 9. 15. 00:30 독서

석 사 학 위 논 문 지도교수 박 미 리
여섯 조각 이야기를 통해 본 초등학생의 자기상 및 욕구 분석
Analysis on self-image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Six Piece Story Making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연극치료학과 연극치료학 전공
김 경 민
2015년 12월국 문 초 록
여섯 조각 이야기를 통해 본 초등학생의 자기상 및 욕구 분석

김 경 민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연극치료학과 연극치료전공
본 연구는 물리 라하드(Miili Lahad)가 제작한 연극치료 진단도구인 여 섯 조각 이야기를 자기상 및 욕구 관점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적용해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여섯 조각 이야기의 여섯 구조인 주인공, 과제, 방해자, 조력자, 과정, 결말을 자기상과 욕구의 관점으로 보고 자기상, 욕구, 갈등 유형, 갈등관리의 구조로 보았다.
주인공을 계통분류에 따라 나눈 뒤, 능동적·수동적 관점으로 자기상을 분석하였다. 또 매슬로우의 욕구이론, 이성록의 갈등 유형, 레빈의 갈등 유형, 토마스-킬만의 갈등관리 이론을 근거로 여섯 조각 이야기에 맞게
- i -수정하여 이를 분석하는 틀을 제안하였다.
주인공 자기상 동물/식물/사람/무생물 능동적/수동적
과제 욕구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사랑·소속감 욕구/ 자긍심 욕구/자기실현 욕구
방해자
갈등 유형
개인 내 갈등
접근-접근/ 회피-회피/ 접근-회피
개인 간 갈등
경쟁과 대립/ 무능력/ 권력 자신감 상실 조력자, 과정
갈등 관리
자율성과 관계성
경쟁형/ 협동형/ 절충형/
회피형/ 순응형 결말 자기상 낙관적/ 비관적
(주인공의 힘/조력자의 힘)
다음으로, 자기상과 욕구 관점의 분석틀을 이용해 초등학교 고학년 집 단 121명의 여섯 조각 이야기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통계수치를 이용 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생 고학년의 자기상은 사람과 동물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능동 적 자기상이 수동적 자기상보다 10명 많았으나 거의 비슷했다. 또한 사 람과 동물처럼 움직일 수 있는 경우 능동적 자기상이 더 많았고, 식물과 사물처럼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수동적 자기상이 더 많았다. 그러나 의 외로 움직임이 가능할 때에도 수동적 자기상이 적지 않았다. 움직임이 불가능한 경우 또한 마찬가지다.
욕구는 자긍심에 대한 욕구가 많았고 다음으로 안전의 욕구, 생리적 욕 구가 많았다.
갈등의 유형에서는 개인 내 갈등은 극히 적었고 개인 간 갈등이 훨씬 많았다. 개인 내 갈등에서는 접근-회피 갈등이 많았고 접근-접근 갈등이 그 다음이고, 회피-회피 갈등은 아예 없었다. 개인 간 갈등으로는 권력 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쟁과 대립이 많았다. 그리고 무능력과 자 신감 상실은 극히 적었다.
하지만 갈등 관리에서는 조금 다르다. 자율성은 낮고 관계성은 높은 순
- ii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14. 23:23 독서

약 45%는 현재든 5년 후든 그저 그럴 것이라고 다소 부정적으로 전망하였 다.
6. 시험제도에 대해서는 응시자격 제한을 두지 않는 점, 기술사에 대해 일 부과목을 면제해 주는 점, 그리고 시험문제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 가가 많았다.
7. 향후 산업보건지도사의 사후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84%가 필요하다 고 응답하였다.
- 50 -【참고문헌】
1. 국내문헌
박종성, 김현욱, 원정일. 산업위생분야 국가 자격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9권, 제2호, 1999.
(사)한국산업안전위생지도사 연합회. 제1회 산업재해예방 세미나 자료집.
2001.
일본 노동안전위생 컨설턴트회지. 1993.
태순호, 김용수. 국내외 안전관리 제도 비교분석. 한국산업안전학회지, 제17 권, 제4호, 2002.
한국산업안전공단. 21세기 산업보건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1999.
한국환경정책평가 연구원. 환경컨설팅 산업의 육성발전 전략 방안 연구.
2003.
- 51 -2. 국외문헌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 Industrial Hygiene Consultants, Am. Ind. Hyg. Assoc. J(50). 1989.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 Consultants Listing, Am. Ind.
Hyg. Assoc. J(54). 1993.
Alice C. Farrar : Industrial Hygiene Ethics in the �90S : A professional challenge, Am. Ind. Hyg. Assoc. J(54). 1993.
Laura A. Goldberg, Michael R. Greenberg : Ethical issues for Industrial Hygienists :Survey Results and Suggestions, Am. Ind. Hyg. Assoc.
J(54). 1993.
Mattew M. Carmel, Michael F. Dolan : State ON-Site Consultation :
Friend or Foe? or There Still i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 Appl. Occup. Environ. Hyg 8(2), 1993.
OSHA Technical Appendix N : Guidelines for Selecting and Using an Industrial Hygiene Consultan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8.
Patty′s Industrial Hygiene and Toxicology. Fourth Edition. Role of the Industrial Hygiene Consultants. 1991.
- 52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13. 03:30 독서

응 답
응 답
<표 41> 2013년도 4월 지도사 시험응시에 대한 의견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예 3(12.5%) 8(5.4%) 0(0.0%) 11(6.1)
아니오 17(70.8%) 129(87.2%) 7(87.5%) 153(85.0) 무응답 4(16.7%) 11(7.4%) 1(12.5%) 16(8.9) 소계 24( %) 148(100%) 8(100%) 180(100)
<표 42> 조만간 응시할 예정에 대한 의견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예 12(50.0%) 60(40.5%) 2(25.0%) 74(41.1) 아니오 7(29.2%) 72(48.6%) 5(62.5%) 84(46.7) 무응답 5(20.8%) 16(10.8%) 1(12.5%) 22(12.2)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 48 -제 4 장 결 론
산업위생분야 실무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산업보건지도사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과 관련 제도에 대한 의견 및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 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는 총 180명이었으며, 남자가 127명(70.6%)이었고 여자는 53 명(29.4%)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20대가 57명(31.7%), 30대가 59명(32.8%), 40대가 50명(27.8%), 50대가 13명(7.2%), 60대가 (0.6%)이었다.
2. 자격증별 소유자 집단간 실력차이에 대한 조사결과, 산업기사, 기사, 기 술사의 자격증보유자와 미보유자간 실력차이는 큰 것으로 평가하였다. 다만 산업기사의 경우 자격증 보유자와 미보유자 간의 실력차이가 크지 않다는 부 정적인 평가가 13%정도로 나타났고, 차이가 약간 난다는 평가가 25%정도로 나타나 산업기사보유자를 미보유자보다 월등하게 나은 전문가 수준으로는 인 정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산업기사와 기사와의 실력차이에 대한 평 가는 별로 없다거나 거의 없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41%로 매우 높았으며, 매 우 크다거나 크다는 평가는 23%에 불과했다. 기사와 기술사간 실력차이에 대 해서는 53%가 매우 크거나 크다고 평가하였고 차이가 별로 없다는 평가는 14%에 불과하였다. 기술사와 지도사간 실력차이에 대해서는 38%가 별로 또 는 거의 없다고 평가하였고, 27%는 매우 크거나 크다고 평가하였다. 약간 크 거나 별로 없다는 응답을 합하면 54%로 대부분 큰 차이가 없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3. 산업위생기술사와 산업보건지도사 중 하나만 택한다면 78%가 기술사를 선호하였다.
4. 산업보건지도사에 대한 전망에 대해 46%가 그저 그럴 것이라는 부정적 인 응답을 하였지만 49%는 매우 좋거나 좋을 것이라고 응답하여 상당한 기 대감을 표하였다.
5. 사업장에서 산업보건지도사의 수요가 현재 높다는 응답 13%정도에 불과 했으나 향후 5년 이내에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32%로 높아졌다. 그러나
- 49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12. 03:00 독서

8. 산업보건지도사의 사후관리 및 응시 여부 지도사 취득 후 사후관리에 필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필요하다”
151(83.9%), “필요하지 않다” 23(12.8%) 나타났다.
대부분 지도사 취득 후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9〕 산업보건지도사의 사후 관리에 대한 의견
<표 39> 산업보건지도사의 사후 관리에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필요하다 21(87.5%) 125(84.5%) 5(62.5%) 151(83.9)
필요하지 않다 3(12.5%) 19(12.8%) 1(12.5%) 23(12.8)
무응답 0(0.0%) 4(2.7%) 2(25%) 6(3.3)
소계 24(100 %) 148(100%) 8(100%) 180(100)
- 46 -9. 향후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응시 여부 2013년도 4월 시험 응시 여부에 대한 응답결과는 “예” 11(6.1%), “아니오”
153(85.0%), “무응답” 16(8.9%)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도사 시험 응시 여부에 대한 응답결과는 “예” 74(41.1%), “아니오”
84(46.7%), “무응답” 22(12.2%)으로 나타났다.
〔그림 30〕 산업보건지도사 지도사 시험응시에 대한 의견
<표 40> 2012년도 지도사 시험응시에 대한 여부
응 답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예 16(66.7%) 0(0.0%) 1(12.5%) 17(9.4)
아니오 7(29.2%) 139(93.9%) 6(75.0%) 152(84.4)
무응답 1(4.2%) 9(6.1%) 1(12.5%) 11(6.1)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 47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10. 01:30 독서

7.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면제조건에 대한 견해 산업위생기술사 자격을 가진 자에게 일부과목 시험면제를 하는 것에 대한 적절성을 묻는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는 “매우 적절” 18(10.0%),“적절”
71(39.4%),“보통” 48(26.7%), “부적절” 26(14.4%), “매우 부적절” 11(6.1%) 으로 나타났다.
박사 취득 후 3년 경력을 가진 자에게 일부과목 시험 면제를 하는 것에 대 한 적절성을 묻는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는 “매우 적절” 8(4.4%),“적절”
66(36.7%), “보통” 60(33.3%), “부적절” 28(15.6%), “매우 부적절” 10(5.6%) 으로 나타났다.
〔그림 28〕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면제조건에 대한 의견
- 44 -적절성 여부
<표 37>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면제 조건 중 산업위생기술사에 대한 의견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3(12.5%) 14(9.5%) 1(12.5%) 18(10.0) 적절 9(37.5%) 60(40.5%) 2(25.0%) 71(39.4) 보통 3(12.5%) 42(28.4%) 3(37.5%) 48(26.7) 부적절 8(33.3%) 18(12.2%) 0(0.0%) 26(14.4) 매우 부적절 1(4.2%) 9(6.1%) 1(12.5%) 11(6.1) 무응답 0(0.0%) 5(3.4%) 1(12.5%) 6(3.3)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표 38>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면제 조건 중 박사 취득 후 3년 경력에 대한 의견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2(8.3%) 6(4.1%) 0(0.0%) 8(4.4) 적절 8(33.3%) 55(37.2%) 3(37.5%) 66(36.7) 보통 10(41.7%) 47(31.8%) 3(37.5%) 60(33.3) 부적절 3(12.5%) 25(16.9%) 0(0.0%) 28(15.6) 매우 부적절 0(0.0%) 9(6.1%) 1(12.5%) 10(5.6) 무응답 1(4.2%) 6(4.1%) 1(12.5%) 8(4.4)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적절성 여부
- 45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9. 01:30 독서

<표 34> 지도사 자격의 적합성 평가 중 논술형 4문항 3문항 선택에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3(12.5%) 9(6.1%) 1(12.5%) 13(7.2) 적절 11(45.8%) 70(47.3%) 2(25.0%) 83(46.1) 보통 9(37.5%) 44(29.7%) 4(50.0%) 57(31.7) 부적절 1(4.2%) 19(12.8%) 0(0.0%) 20(11.1) 매우 부적절 0(0.0%) 2(1.4%) 0(0.0%) 2(1.1) 무응답 0(0.0%) 4(2.7%) 1(12.5%) 5(2.8)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표 35> 지도사 자격의 적합성 평가하는데 단답형 5문항 문제 형식에 대한 의견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2(8.3%) 8(5.4%) 0(0.0%) 10(5.6) 적절 7(29.2%) 49(33.1%) 2(25.0%) 58(32.2) 보통 9(37.5%) 44(29.7%) 2(25.0%) 55(30.6) 부적절 1(4.2%) 15(10.1%) 0(0.0%) 16(8.9) 매우 부적절 0(0.0%) 3(2.0%) 0(0.0%) 3(1.7) 무응답 5(20.8%) 29(19.6%) 4(50.0%) 38(21.1)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 42 -6.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난이도에 대한 견해 2012년 제 1차 시험에 응시한 응답자는 2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시험문 제 난이도 적절성에 관해 설문한 결과 “적절” 7(29.2%), “보통” 7(29.2%),
“부적절” 6(25.0%), “매우 부적절” 4(16.7%)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보통 또는 부적절하다고 보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7〕산업보건지도사 시험 난이도 및 면제 조건에 대한 응시경험자 의견
<표 36>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난이도 및 면제 조건에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0(0.0%) 0(0.0%) 0(0.0%) 0(0.0%) 적절 7(29.2%) 0(0.0 %) 0(0.0%) 7(29.2%) 보통 7(29.2%) 0(0.0 %) 0(0.0%) 7(29.2%) 부적절 6(25.0%) 0(0.0 %) 0(0.0%) 6(25.0%) 매우 부적절 4(16.7%) 0(0.0 %) 0(0.0%) 4(16.7%) 무응답 0(0.0%) 0(0.0 %) 0(0.0%) 0(0.0%) 소계 24(100%) 0(0.0 %) 8(0.0%) 24(100%)
- 43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8. 01:00 독서

2차시험 산업위생학 논술형 4문항 중 4문항 중 3문항과 단답형 5문항의 문 제 형식의 의견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 180명의 응답자 모두가 응답하여 〔그림 22〕 및 <표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타났다. 2차 시험 산업위생학 논술형 4문항 중 4문항 중 3문항과 단답형 5문항의 문제 형식의 대안에 대한 의견은 <표24> 보는 바와 같이 “서술형” 8명(4.5%), “단답형” 13명(7.2%),
“서술형과 단답형 혼합” 4명(2.2%), “무응답” 155명(86.1%)이었다. 무응답으 로 의견의 155명은 적절하거나 보통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라고 판단된다.
2차 시험 산업위생공학의 “부적절” 9(5.0%),매우부적절 4(5.0%)의 의견에 그에 따른 대안을 물었으나 다른 응답자들도 함께 응답한 결과 “무응답” 155
명(86.1%)으로 나타났다.
〔그림 25〕 제 2차시험 산업위생공학 논술형 4문항 중 3문항과 단답형 5문항의 문제형식이 부적절하다면 대안에 대한 의견
- 40 -<표 33> 제 2차시험 산업위생공학 논술형 4문항 중 3문항과 단답형 5문항의 문제 형식이 부적절하다면 대안에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단답형 1(4.2%) 7(4.7%) 1(12.5%) 8(4.5) 서술형 3(12.5%) 9(6.1%) 0(0.0%) 13(7.2) 단답형과 서술형 혼합 0(0.0%) 4(2.7%) 0(0.0%) 4(2.2) 무응답 20(83.3%) 128(86.5%) 7(87.5%) 155(86.1)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2차 시험 논술형 4문항 중 3문항을 선택하는 문제형식에 관해 적절한지에 관한 설문결과는 “매우 적절” 13(7.2%), “적절” 83(46.1%), “보통”
57(31.7%), “부적절” 20(11.1%), “매우 부적절” 2.0(1.1%)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2차 시험 논술형 4문항 중 3문항을 선택하는 문제형식에 관해 적절 하다고 보고 있었다.
〔그림 26〕 지도사 자격의 적합성 평가하는 문제 형식에 대한 의견
- 41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7. 02:30 독서
1차 시험시 5지 선다형 객관식 문제에 관해 부적절하다고 응답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대안에 관한 견해를 물어본 결과 “단답형

 

” 12(6.7%), “서술형”
18(10%), “단답형과 서술형 혼합” 2(1.1%)로 나타났다.
〔그림 22〕 산업보건지도사에 1차시험 5지 선다형 객관식이 부적절하다면 그에 따른 대안에 대한 의견
<표 28> 산업보건지도사에 1차시험 5지 선다형 객관식이 부적절하다면 그에 따른 대안에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단답형 1(4.2%) 10(6.8%) 1(12.5%) 12(6.7)
서술형 4(16.7%) 14(9.5%) 0(0.0%) 18(10)
단답형과 서술형 혼합 0(0.0%) 2(1.4%) 0(0.0%) 2(1.1)
무응답 19(79.2%) 122(82.4%) 7(87.5%) 148(82.2)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 35 -

4. 산업보건지도사 1차 시험 과목별 문항수에 대한 의견 1차 시험 과목의 문항수에 관한 적절성을 묻는 설문에 대한 응답은 다음과 같았다.
산업안전보건법 25문항에 대한 적절성을 묻는 설문에는 “매우 적절”
31(17.0%), “적절” 74(41.1%), “보통” 47(26.1%), “부적절” 14(7.8%), “매우 부적절” 9.0(5.0%)으로 나타났다.
산업위생일반 25문항에 대한 적절성을 묻는 설문에는 “매우 적절”
26(14.4%), “적절” 75(41.7%), “보통” 51(28.3%), “부적절” 14(7.8%), “매우 부적절” 9.0(5.0%)으로 나타났다.
기업지단지도 25문항에 대한 적절성을 묻는 설문에는 “매우 적절”
26(14.4%), “적절” 75(41.7%), “보통” 51(28.3%), “부적절” 14(7.8%), “매우 부적절” 9.0(5.0%), “무응답” 5.0(2.8%)이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는 1차 시험 문항수에 관해 적절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그림 23〕 산업보건지도사 각 시험방법 및 25문항에 대한 의견
- 36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6. 03:30 독서

적절성 여부
<표 29> 산업안전보건법 25문항에 대한 적합성 대한 의견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6(25.0%) 24(16.2%) 1(12.5%) 31(17.0) 적절 8(33.3%) 62(41.9%) 4(50.0%) 74(41.1) 보통 7(29.0%) 38(25.7%) 2(25.0%) 47(26.1) 부적절 2(8.3%) 12(8.1%) 0(0.0%) 14(7.8) 매우 부적절 1(4.2%) 8(5.4%) 0(0.0%) 9(5.0) 무응답 0(0.0%) 4(2.7%) 1(12.5%) 5(2.8)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표 30> 산업위생일반 25문항에 대한 적합성 대한 의견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5(20.8%) 21(14.2%) 0(0.0%) 26(14.4) 적절 9(37.5%) 64(43.2%) 2(25.0%) 75(41.7) 보통 7(29.2%) 39(26.4%) 5(62.5%) 51(28.3) 부적절 2(8.3%) 12(8.1%) 0(0.0%) 14(7.8) 매우 부적절 1(4.2%) 8(5.4%) 0(0.0%) 9(5.0) 무응답 0(0.0%) 4(2.7%) 1(12.5%) 5(2.8)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적절성 여부
- 37 -<표 31> 기업진단지도 25문항에 대한 적합성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1(4.2%) 13(8.8%) 0(0.0%) 14(7.8) 적절 8(33.3%) 59(39.9%) 2(25.0%) 69(38.0) 보통 11(45.8%) 49(33.1%) 5(62.5%) 65(36.1) 부적절 3(12.5%) 14(9.5%) 0(0.0%) 17(9.4) 매우 부적절 1(4.2%) 8(5.4%) 0(0.0%) 9(5.0) 무응답 0(0.0%) 5(3.4%) 1(12.5%) 6(3.3)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 38 -5. 산업보건지도사 2차 시험 문제 형식에 대한 의견 현행 2차 시험 논술형 4문항 중 3문항과 단답형 5문항의 문제형식에 관한 적절성을 묻는 설문결과는 “매우 적절” 10(5.6%), “적절” 80(44.4%), “보통”
72(40.0%), “부적절” 9(5.0%), “매우 부적절” 4.0(2.2%)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2차 시험 논술형 4문항 중 3문항과 단답형 5문항의 문제형식에 관 해 전반적으로 적절하다는 의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4〕 제 2차시험 산업위생공학 논술형 4문항 중 3문항과 단답형 5문항의 문제형식에 대한 의견
<표 32> 제 2차시험 산업위생공학 논술형 4문항 중 3문항과 단답형 5문항의 문제형식에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2(8.3%) 7(4.7%) 1(12.5%) 10(5.6) 적절 10(41.7%) 69(46.6%) 1(12.5%) 80(44.4) 보통 11(45.8%) 57(38.5%) 4(50.0%) 72(40.0) 부적절 0(0.0%) 9(6.1%) 0(0.0%) 9(5.0) 매우 부적절 1(4.2%) 3(2.0%) 0(0.0%) 4(2.2) 무응답 0(0.0%) 3(2.0%) 2(25.0%) 5(2.8)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 39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6. 9. 5. 01:30 독서

2. 산업보건지도사 필요 응시자격 요건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응시에 필요한 최소 응시자격 요건에 대한 응답결과 는 “학력만 요구” 25(13.9%), “경력만 요구” 29(16.1%), “학력과 경력을 모 두 요구”117(65%)로 나타났다.
대부분 산업보건지도사 시험 응시에 있어 학력과 경력에 대한 제한이 필요 하다는 의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0〕 산업보건지도사에 시험 자격에 대한 학력과 경력의 제한에 관한 의견
<표 26> 산업보건지도사에 시험 자격에 대한 학력과 경력의 제한에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학력만 요구 4(16.7%) 20(13.5%) 1(12.5%) 25(13.9%) 경력만 요구 3(12.5%) 26(17.6%) 0(0.0%) 29(16.1%) 학력과 경력을 모두 요구 17(70.8%) 94(63.5%) 6(75.0%) 117(65%) 무응답 0(0.0%) 8(5.4%) 1(12.5%) 9(5%) 소계 24(100%) 148(100%) 8(100%) 180(100)
- 33 -3. 산업보건지도사 1차 시험 문제 형식에 대한 의견
현행 1차 시험시 5지 선다형 객관식 문제의 적설성 여부의 응답결과는 “매 우 적절” 23(12.8%), “적절” 80(44.4%), “보통” 56(31.1%), “부적 절”14(7.8%),“매우 부적절” 6(3.3%)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1차 시험 5지 선다형 객관식 문제 출제에 관해 전반적으로 적절하 다는 의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1〕 산업보건지도사에 1차시험 5지 선다형 객관식에 대한 의견
<표 27> 산업보건지도사에 1차시험 5지 선다형 객관식에 대한 의견
적절성 여부
응시 여부 전체(%) 응시경험자 미 응시자 구분불가자
매우 적절 2(8.3%) 19(12.8%) 2(25.0%) 23(12.8) 적절 10(41.7%) 68(45.9%) 2(25.0%) 80(44.4) 보통 9(37.5%) 43(29.1%) 4(50.0%) 56(31.1) 부적절 3(12.5%) 11(7.4%) 0(0.0%) 14(7.8) 매우 부적절 0(0.0%) 6(4.1%) 0(0.0%) 6(3.3) 무응답 0(0.0%) 1(0.7%) 0(0.0%) 1(0.6) 소계 24(100 %) 148(100%) 8(100%) 180(100)
- 34 -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