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7. 19. 11:51
독서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현재 중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음악교사들과 면담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들로부터 국악교육에 대한 생각과 수업현장에서의 경험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한 결과, 네 가지의 연구 문제에 따라 7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첫째, 본 연구는 음악교사들이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음악교사들은 뿌리가 있는 국악수업, 창의성이 샘솟는 국악수업, 소통과 배려가 있는 국악수업, 심미적 체험을 중시하는 국악수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 자는 이러한 음악교사들의 생각을 토대로 분석과 해석을 하였다.
둘째, 중학교 음악교사들은 국악수업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이해하 고자 하였다. 음악교사들의 수업목표는 무엇인지, 수업 내용은 무엇인지, 수업방법은 어떠한지 그리고 수업 평가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대한 국악수업 현장을 이해 하고자 하였다.
셋째,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에서 교사가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 하는 것과 수업 현장에서 실제 가르치는 것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 고자 하였다.
넷째,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에서 교사가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 하는 것과 수업 현장에서 차이가 생긴 이유는 무엇인지를 알아보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는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교사와 학생과의 (0) | 2018.07.30 |
---|---|
교사는 자기가 지금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쳐야겠다고 하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학습자의 상황과 반응을 (0) | 2018.07.19 |
분석 틀 확인을 하는 단계이다. 분석은 데이터를 해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0) | 2018.07.16 |
자가 자신의 경험을 조직하고 자신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의미 (0) | 2018.07.15 |
나와 함께 근무하였을 때도 퓨전 국악 오케스트라에 관심이 많았으며 학생 예능경 (0) | 2018.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