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딜라이브 1644-7564 가입 조현정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케이블 방송은 언제나 알차게~!!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018. 8. 31. 09:15 일상

양을 좌우한다. 그러므로 굳이 개정된 교육과정을 몰라도 교과서 속에 제시되어 있는 국악 내용 체제 중심으로 가르치면 되기 때문에 국악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음악수업에 있어서 절대 빠지지 않고 국악교육과정을 지침대로 진행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그런데 지침을 보면 시김새, 말붙임새, 장단의 세 이런 용어가 나
와 현장에서 가르치기에 어려운 감이 있어요. 민요 부르기에도 힘이 드는데 국악의 어법으로 가르치려니 좀 부담스러워요. (S교사 2015.10.30)
S교사는 국악을 전공해서 그런지 몰라도 음악과 교육과정 국악교육 내용을 실행 하려고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지침을 보면 시김새, 말붙임새, 장단의 세를 이해하고는 있지만 학생들에게 지도하기에는 힘이 드는 부분이 있다고 한다.
사실 학생들에게 민요를 불러보기 또한 쉽지 않은데 국악어법으로 수업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점이 있다. 이는 결국 국악의 가치보다는 기능 중심으로 지도할 수밖에 없는 국악수업 교육환경임을 알 수 있다. 국악은 서양음악과는 엄연히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서양음악과 국악이 통합되어 서양음악 식으로 해석하여 제시하고 있는 관계로 서양음악과 국악이 체계적이지 않게 수업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서양음악과 국악은 각자의 음악 색깔에 맞게 별도의 교과로 분류하여 출판 될 필요가 있겠다. 이러한 과정이 우선 시 되기 위해서는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제 속에 포함 되어 있는 국악교육을 별도의 교과로 구체화해야할 필요가 있겠다. 즉, 국악교육 영역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더욱 상세히 제시 하여 서양음악과 국악의 별도의 교과 영역으로 분류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이 국악교육을 서양음악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40%에서 50%를 차지 할 정도로 양은 늘어났지만 한국의 전통 음악교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