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1. 10. 11:00
독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용역과 깡패들은 무속신앙속의 불행, 재해의 반영이다. 무속신앙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그대로 작품에 대입되면서 ‘저 승편’과 동일하게 독자들에게 익숙한 캐릭터성을 제공한다.
<그림 11> ‘이승편 ’ 캐릭터 구도와 무속신앙 ‘집굿 ’ 캐릭터 구도의 차이성
<그림 11>를 통해‘이승편’캐릭터 구도와 무속신앙‘집굿’ 캐릭터 구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집굿’은 가정의 평화를 기원하는 굿으로서, 여기서 잡귀는 질병이나 재해 등 가정의 안녕을 위협하는 초자연적인 대상이다. 이 초자연적 대상들은 갈등과 대결을 통한 극복의 대상이 아닌, 위로하고 공경하 여 발길을 돌리게 하는 대상들이다. 그러나‘이승편’에서는 집굿의 이러한 구도 대신 잡귀와 불행을 철거용역이라는 캐릭터로 구체화시켜 갈등을 전면화 시키면서 대결 구도를 형성함으로써 서사 진행의 현재성을 확보한다.
- 31 -
<그림 11> ‘이승편 ’ 캐릭터 구도와 무속신앙 ‘집굿 ’ 캐릭터 구도의 차이성
<그림 11>를 통해‘이승편’캐릭터 구도와 무속신앙‘집굿’ 캐릭터 구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집굿’은 가정의 평화를 기원하는 굿으로서, 여기서 잡귀는 질병이나 재해 등 가정의 안녕을 위협하는 초자연적인 대상이다. 이 초자연적 대상들은 갈등과 대결을 통한 극복의 대상이 아닌, 위로하고 공경하 여 발길을 돌리게 하는 대상들이다. 그러나‘이승편’에서는 집굿의 이러한 구도 대신 잡귀와 불행을 철거용역이라는 캐릭터로 구체화시켜 갈등을 전면화 시키면서 대결 구도를 형성함으로써 서사 진행의 현재성을 확보한다.
- 31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승편’의 공간구도이다. 특히 지옥 공간에 대한 배치에 주 목할 필요가 있다. 송제대왕의 한빙지옥과 염라대왕의 발설지옥이 많은 비중 을 (0) | 2016.11.11 |
---|---|
지금까지 <신과 함께>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무속신앙의 원천소스 (0) | 2016.11.10 |
이승편’에서 나온 캐릭터 분석이다. 무속신앙 캐릭터와 작품에서 (0) | 2016.11.10 |
체질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일단 사람의 얼굴형상을 (0) | 2016.11.06 |
화형(火形)과 수형(水形)은 얼굴형 상이 그림과 다르게 보이는 사람도 (0) | 2016.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