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이러한 방식으로 리히텐슈타인은 1962년 만화책인 『미국인 전쟁(All American Men
조현정팀장
2017. 11. 30. 11:51
로 만든 레디메이드(handmade readymade)”가 되는 것이다. 119)
이러한 방식으로 리히텐슈타인은 1962년 만화책인 『미국인 전쟁(All American Men of War)』에서 어브 노빅(Irv Novick, 1916-2004)이 그린 <별 자키(The Star Jockey)>(도 5)의 만화 이미지를 빌려와서 <꽝 (Whaam)!>(도 6)을 제작했다.
도판 5 어브 노빅(Irv Novick), <별 자키(The Star Jockey)>, 1962, All American Men of War-D.C. Comics 도판 6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꽝(WHAAM)>, 1963, 캔버스에 마그나펜, 172.7x421.6cm, 테이트갤러리
두 이미지를 살펴볼 때 리히텐슈타인은 노빅의 만화에서 자신의 창조성에 도움이 될 만한 것은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제거했다. 그는 미묘하지만 결정적인 방법으로 원래의 이미지를 변형하였다. 또한 일관성 있는 작
이러한 방식으로 리히텐슈타인은 1962년 만화책인 『미국인 전쟁(All American Men of War)』에서 어브 노빅(Irv Novick, 1916-2004)이 그린 <별 자키(The Star Jockey)>(도 5)의 만화 이미지를 빌려와서 <꽝 (Whaam)!>(도 6)을 제작했다.
도판 5 어브 노빅(Irv Novick), <별 자키(The Star Jockey)>, 1962, All American Men of War-D.C. Comics 도판 6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꽝(WHAAM)>, 1963, 캔버스에 마그나펜, 172.7x421.6cm, 테이트갤러리
두 이미지를 살펴볼 때 리히텐슈타인은 노빅의 만화에서 자신의 창조성에 도움이 될 만한 것은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제거했다. 그는 미묘하지만 결정적인 방법으로 원래의 이미지를 변형하였다. 또한 일관성 있는 작